5G 가입 I 제대로 이용하고 있을까요?
핸드폰 기기 교체후 2년이 지나면, 전화가 오기 시작합니다.
현재 쓰고 있는 통신사에서 새로나온 기기 교체시 주어지는 혜택에 대해 정말 적극적인 콜영업을 시도합니다.
기기 가격과 통신사 요금 가격이, 월별 지출에서 비중이 점점 적어지는 그 시점을 놓치지 않는거죠.
몇개월전 다른 일로 한참 바쁘던 저도 위와 같은 전화를 받았고 (평소 같으면 단호하고 정중하게 거절하는 저였지만) 그날은 웬일인지 궁금한 것 한두가지를 묻다가 덜컥 기기교체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 쓰고 있는 것이 아이폰13인데, 그때 통신 요금도 어떤 특정 요금제를 써야 할인이 된다고 해서 그렇게 가입하게 된 것이 5G 통신입니다.
(물론 이 5G 통신 요금에도 다양한 등급과 가격대가 있습니다. 저는 3개월 약정 가장 비싼 프리미엄요금제를 쓰다가 나중에 변경하기는 했습니다)

아무튼, 그런데 문제는 지금까지도 다른 통신보다 비싼 5G 가입이 뭐가 좋은건지 잘 모르고 있던 차에 저와 같은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 매달 적지 않은 금액이 꼬박꼬박 나가고 있는데 5G란 무엇이며 무엇이 좋은 걸까요?
◆ 그리고 핸드폰 기기 교체를 하면 꼭 5G 통신을 이용해야 하는 걸까요?
5G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한 5세대 통신규약으로 정식 명칭은 'IMT-2020'으로 이다.
5G의 이동통신 기술: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20Gbps, 최저 다운로드 속도가 100Mbps

5G 특징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의 기능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가상증강현실(VR.AR), 사물인터넷(IoT)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이전에 통신기술이었던 CDMA(2세대)-WCDMA(3세대)-LTE(4세대)가 휴대폰 연결 통신망이었다면 5G는 휴대폰 뿐만 아니라 모든 전자 기기를 연결이 가능한 통신망이다.
5G가 적용된 예로는 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특정 종목에 타임 슬라이스 기술이 적용되어 화제를 모은 적이 있다. 피겨스케이팅, 아이스하기, 쇼트트랙 등 속도감 있는 종목에 다양한 각도에서 찰나를 포착하는 타임슬라이스는 여러 대의 카메라가 동시에 촬영한 영상을 5G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해주는 기술로, 고화질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초고속 대용량 통신이 필요하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_5세대 이동통신
👦 이제 알았습니다.
이동통신기술상 가장 앞선 통신기술을 사용한다고 제가 가입한 거였네요. 그런데 5G 이동통신의 특징 _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을 실생활에서 제가 체감하지는 못하고 있으니 문제네요. 게다가 앞서 언급했듯이 통신요금도 비쌉니다.
영상 좀 볼 줄 안다면 U+5G

저는 SKT 을 쓰고 있긴 하지만 위의 요금제 테이블과 처음에는 많이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기기 값을 제외한 통신요금만 저 정도이니 5G 이용자들은 비싼 통신요금을 내고 있는 편입니다.
👦 여기서 잠깐?
그럼, 핸드폰 기기를 바꾼다고 꼭 5G 를 써야할까요?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는 저처럼 통신사를 통해 핸드폰 기기를 구입한 경우, 통신사에서 세팅된 요금제 즉 5G를 써야 했습니다.
아닌 경우는 지급제폰을 직접 구입해서 통신사에 가입하는 경우입니다.
자급제 폰은 5G 사용을 안해도 된다!
대형마트나 가전매장,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소비자기 직접 공기계 구입 후 원하는 통신사에서 개통하여 사용하는 방식.
장점 I 약정 기간 없이 통화 패턴에 맞는 통신사와 요금을 선택할 수 있어, 월 통신 요금을 줄일 수 있음.
단점 I 통신사 보조금을 받을 수 없고 구입할 수 있는 휴대폰의 종류가 한정적임.
출처 _네이버 지식백과
예를 들어 저처럼 아이폰13은 쓰고 싶고, 5G 혜택이나 이용의 체감이 적은 사람이라면 오히려 지급제폰으로 아이폰13을 구입하고 LTE 요금제를 선택해서 통신사 가입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안그래도 최근 관련 기사를 보면 5G요금은 4세대 통신이용 요금은 LTE보다 최대 2만원 이상 비싼 반면에 서비스 수준은 낮다고 합니다.
특히 “5G가입자 70% 이상 전용서비스 모르고 이용 안한다”라는 머리 기사에 저도 당연히 이 70%에 포함됩니다.
👦 5G 전용서비스가 따로 있다는데 저도 몰랐거든요.
20일 국회에서 공유된 ‘5G 전용서비스 인식 및 이용현황’ 정책보고서에 의하면 5G서비스 가입자 72%가 5G 전용서비스 자체를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하네요. 그럼에도불구하고 각 통신사들은 이 비싼 요금제 고객 유치를 위해 5G 전용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5G 전용서비스 현황
◆ SK텔레콤 : 5GX 클라우드 게임, 이프랜드(ifland)
◆ KT : 게임박스, 채팅플러스 등을 제공.
◆ LG유플러스: U+골프, U+프로야구 등을 운영

👦 다시한벙 위와 같은 서비스가 있는지 몰랐습니다 ㅜㅜ 얼핏보니 메티버스 관련 이용 서비스 같은데 다음에 한번 이 신세계를 경험해보긴 해야겠습니다.

5G는 2019년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합니다. 괜히 IT 강국이 아닌가 봅니다. 그리고 국내 5G 가입자 수가 2019년 연말 466만명, 2020년 1185만명, 2021년 8월말 기준 1780만명으로 크게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만드는 기업들이 5G 전용폰 출시를 계속하고 있어서 연말 2000만명을 넘어설거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시대적 흐름이고 추세라면 이왕쓰는 5G 위와 같은 전용 서비스를 앞으로 더욱 적극 활용해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