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ㅣ 내 차 휘발유 가격 얼마나 내리는건가요?

반응형
반응형

저는 자가이용 출퇴근자입니다.

차종은 중소형 휘발유 차량이고 주로 회사와 집만 이용하기때문에 10년쯤 탔지만 주행거리가 1만 킬로미터 조금 더 되었습니다. 한달기준 휘발유는 한번에 4만원씩 약 4번정도 (주에 한번) 넣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저도 체감이 되더라구요.

결제는 계속 똑같이 4만원씩 하지만 주유를 하고 나서 올라가는 주유탱크 눈금이 달라지는거죠.

 

 

언젠가는 늘 그랬던것 처럼 4만원 결제를 요청하고 주유를 했는데, 만땅 (👱‍♂️ 이런게 전문용어죠 ㅎ)이 되어 몇천원을 다시 돌려받았던 적도 있습니다. 아마 그때가 휘발유 가격이 많이 내렸을때였겠죠.

 

그리고 오늘, 언제나 처럼 빨간불이 들어와서 출근길 자주 들리는 주유소에 주유하러 들렸는데 차가 너무 많았습니다. 일주일 중 평일기준 교통량도 가장 적게 체감되는 금요일 아침인데 말이죠. 그리고 나중에 이유를 알았습니다.

오늘이 최근 슬글슬금 올랐던 기름값의 유류세가 한시적으로 20% 내린 첫날이더군요. 동시에 드는 생각은 얼마나 내렸기에 올랐다고 안넣을 수도 없는 기름을 오늘 아침부터 이렇게 줄서서 넣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공부겸 유류세관련 정보들을 좀 찾아봤습니다.

 

먼저, 유류세란?

 

휘발유와 경유 등 일부 석유파생연료에 붙는 7개의 세금 및 준조세를 통칭하는 용어다.

휘발유를 1ℓ를 기준으로 유류세 종류를 보면 교통세, 주행세(교통세의 26%), 교육세(교통세의 15%), 부가가치세(세율 10%), 개별소비세, 관세 등이 붙는다. 액화석유가스(LPG)나 부탄연료라면 여기에 판매부과금이 추가된다.
정부는 유류에 대해 L당 정해진 액수로 세금을 부과한다. 종량제 방식이다.

 

(👱‍♂️ 몇년전 하와이 갔을때 기름값 싸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새삼 납니다. 세금이 이렇게 붙으니 말이죠)


현재 유류세는 휘발유 소비자 판매가격의 6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휘발유 1ℓ 값에는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교통세(529원)가 정액분이어서 제품 가격이 떨어지더라도 부과되는 세금은 거의 변동이 없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로 급락한다 해도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휘발유가격은 각종 세금 때문에 ℓ당 1천원이 넘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 이상 정보 발췌: 네이버지식백과 _ 한경 경제용어사전] 

 

 

이제 국가에서 휘발유 리터당 붙는 세금을 20% 내려 주는게 어떤 의미인지 좀 알겠습니다.

그럼 얼마나 가격이 내리는 걸까요?

 

유류세 인하 / 기간

 

출처 I 오피넷

 

 

-. 휘발유에 부과되는 유류세가 리터(ℓ)당 820원에서 656원

-. 경유는 582원에서 466원

-. LPG 부탄은 204원에서 164원으로 인하됨.

 

이때, 유류세 인하분이 우리가 리터당 결제하는 주유비에 반영된다고 가정하면

ℓ당 휘발유는 164원, 경유는 116원,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40원씩 내릴 것으로 예상됨

 

 

내차 휘발유 가격

 

이전에는  : 40,000원 / 1,780원 = 22.4리터

유류세 인하 : 40,000/1,616원 =24.7리터

 

(👱‍♂️ 기사로 읽을때는 별로 느낌이 없더니, 제가 주단위 넣는 기름값으로 적용해보니 바로 알겠지만 기름을 넣고 봐도 눈금이 확 바뀌는 정도는 아닌 듯 싶었어요 ㅎ)

 

 

유류세 인하 기간

 

-.  2021년 11월 12일부터 4월 말까지 약 6개월간 

 

이번이 처음은 아니고 이전에도 정부는 유가급등에 따른 대책으로 2018년 11월 6일부터 2019년 5월 6일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유류세를 15%인하했고 또 4개월간 추가로 연장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모든 주유소 바로 적용은 아님!!

 

 

그런데, 소비자가격은 개별 주유소가 결정하기 때문에 반드시 유류세가 인하된 만큼 유류 가격이 모두 내리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

한시적 유류세 인하 조치 시행 첫날인 오늘은 주로 정유사 직영주유소와 알뜰주유소들이 바로 기름값을 내려서 이런 곳에 오늘 차들이 많이 몰렸다고 합니다.

 

(👱‍♂️ 그러고보니 평소 제가 이용하는 주유소도 셀프주유 형태니 알뜰주유소였던걸까요??? 셀프주유소= 알뜰주유소는 아닌 것 같아서 아래 정보 첨부합니다 )

 

알뜰주유소란?

석유공사와 농협이 정유사에서 대량으로 공동구매한 휘발유와 경유를 공급받고, 주유소 부대 서비스 등을 없애 주유비용을 기존 주유소에 비해 낮춘 주유소를 말함.

주유 셀프화와 사은품 미지급 등 부대서비스를 없애 주유소 운영비용을 낮춘 주유소를 말한다.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농협주유소, 자가폴주유소 등에 공급한다. 이런 알뜰 주유소에 석유제품을 공급할 정유사로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가 낙찰되어 공급해 오고 있다  _  발췌 [네이버 지식백과] 

 

개인이 운영하는 주유소에서는 재고 물량을 다 쓸때까지  시간이 걸려 유류세 인하 시행 즉시 (유류 판매 가격을) 내리는 건 힘들지만 재고 소진 후 적용한다는 입장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정유사 직영주유소와 알뜰 주유소는 전체 주유소의 19.2%를 차지한다니 아직 주유를 하는 소비자가 체감을 느끼기는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뿐만아니라 최근 몇개월간 기름값이 계속 올라서 유류세 인하분을 가격에 반영하더라도 가격 인하를 체감하기 어려울 거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 제가 오늘 아침 느낀 것 처럼 말이죠)

 

 

휘발유 가격 싼 주유소 찾기

 

 

 

 

특별히 다른 사이트나 어플을 이용하지 않아도 위치정보가 허용되어 있다면 우리가 늘 쓰는 파란창에서 인근 주유소 위치정보와 휘발유 가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가 지금 마포구 상암동에 있어서 이 지역 주유소 정보와 위치가 뜨는데 휘발유 1,634원 주유소 정보가 눈에 확 띕니다^^

 

오피넷

 

 

한국석유공사와 산업통산자원부가 함께 운영하는 오피넷이라는 사이트입니다.

전국단위 주유소별 검색과 가격 조회, 싼주유소 찾기 등이 가능하며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 어플도 있습니다.

 

 

 

 제 경우는 중소형 차량에 주단위 기름값도 직장인 대중교통출퇴근 교통비와 사실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서 체감이 적을 수 있습니다.

주유량이 많은 대형차 혹은 화물차 또 난방이나 기타 용도로 기름을 많이 쓰는 곳에서는 분명히 기분 좋은 정도가 아니라 크게 느껴지는 혜택일 듯 싶습니다. 하지만 아직 모든 주유소 적용은 아니라고 하니 당분간은 근처 주유소 검색 한번 해보고 주유하는 부지런함이 필요하겠네요 ^^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