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할인할증제도 아세요?
- 기타/알쓸정보
- 2022. 11. 26.
제가 사는 아파트는 연식이 좀 되어서 아파트 입구 게이트 이전에 상가 주차장이 있습니다. 가끔 그곳에 차를 세우곤 했는데 그날은 트럭 한대가 상가 쪽으로 서 있어서 더 조심하며 후진으로 이미 세워진 차 두대 사이로 차를 넣는 순간 아주 살짝이지만 바로 느낌이 왔습니다. 내려서 보니 제가 살짝 부딪힌 차는 무려 BMW 였습니다.
차주는 상가동의 공인중개사 사장님으로 사과를 드렸고 상호 얼굴 찌풀릴없이 보험처리를 하기로 했습니다.
정말 살짝 스크래치 수준으로 부딪혔지만 차 수리비가 300만원정도 나왔습니다. 수입자동차에 앞 헤드라이트를 갈아야 해서 견적이 많이 나왔다는데 제 과실 100%로 이견없이 그렇게 처리를 했습니다.
운전경력 10년이 넘지만 이전에 한번도 없던 상황으로 내년도 자동차보험료가 얼마나 더 나올까 궁금합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정확한 용어는 자동차보험 할증제도가 아니라 자동차보험 할인할증제도이네요.
자동차보험 할인할증제도
자동차보험 할인할증제도는 자동차보험 계약자에게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험료를 할인해주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험료를 할증하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해서 운전자의 안전운전과 동시에 자동차보험료 인하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제도라고 합니다.
자동차보험 최초가입시 11Z등급을 부여하고 무사고시 1등급씩 할인하거나 사고 시에는 사고점수에 따라 할증등급 적용되며 보험회사별로 자사 실적에 따라 등급별 할인할증률을 결정한다. ’ 11.2월부터 제도개선으로 인해 무사고자의 최대 할인율은 기존 60%에서 70%로 확대 시행한다.
출처 I 네이버지식백과
👦 자동차보험료는 할증할인 기준도 있지만 위 내용과 같이 현재 본인의 등급 포함 몇 가지가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최종 자동차보험료가 계산됩니다.
자동차보험료 계산식
자동차 보험료 =
[기본보험료] X [ 보험가입경력요율 +- 교통법규준수위반경력요율) X (무사고 할증 할인요율 + 특별할증률) X (특약 요율) X (....................)
위의 기본공식에 담보 유형에 따라 보험회사의 요율이 소폭 달라지게 됩니다.
자동차보험료 할증 기준
본인 과실 비율과 보험가입 시 설정한 할증기준금액 등을 기준과 자동차보험 사고처리 시 할증 적용 여부는 담보 종목 별로 책정됩니다.
[참고] 담보 종목 : △대인 처리 △대물 처리 △자손·자상 △무보험차상해 △자차처리 △다른 자동차 운전 사고 △대리운전 자사고 △자동차 취급업자 사고 △대리운전 특약 사고 △기타 특약 사고 등.
본인 과실 비율에 따른 할증 기준
우선 대인·대물처리 시 본인 과실이 50% 이상이면 보험료 할증 적용 대상에 포함됨.
본인 과실이 1%~49%일 경우 보험료 할인은 3년 유예되며, 본인 과실이 없다면 다음 해 보험료가 할인됨
자기 신체사고(자손)·자동차상해담보(자상)도 본인 과실 50%(보험료 할증), 1%~49%(보험료 할인 3년 유예) 등으로 할증이 이루 짐. 단 이때 태풍·홍수·해일 등의 자연재해와 화재·폭발·낙뢰에 의해 보험처리를 할 경우 보험료 할인은 1년 유예됨
무보험차상해는 구상 가능한 건에 한해 가해자가 있다면 보험료 할인이 가능하지만, 가해자를 모를 경우에는 보험료 할인이 1년 유예
자기 차량손해(자차) 처리 시에는 보유불명 사고일 경우 보험료가 할증된다. 다만 30만 원 미만의 본인 과실 0%의 보유불명 사고는 보험료 할인이 1년 유예된다. 침수·우박·화재·폭발·낙뢰 등으로 보상받는 경우에도 보험료 할인이 1년 유예
다른 자동차 운전 사고·대리운전 특약 사고로 인한 보험처리는 본인 과실 50% 이상일 시 보험료가 할증이 되며, 본인 과실이 1%~49% 일 경우 보험료 할인이 3년 유예된다.
그 외 대리운전자·자동차 취급업자 사고 및 법률비용·상해 간병비·가족 생활비·긴급출동 서비스 등 기타 특약 사고는 보험처리 시에도 차년도 보험료 할인이 적용된
👦 설명글들을 옮겨 놓긴 했지만 한눈에 안 들어옵니다. 다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표에 의하면 저는 상대방의 차를 상해한 대물사고로 제 과실 100% 로이니 무조건 할증이네요 ㅜㅜ
할증기준금액에 따른 보험료 할증 여부
아울러 자동차보험 가입 시 설정한 할증기준 금액에 따라 보험료 할증 여부와 자기 부담금이 정해집니다 다.
물적사고 할증기준 금액은 일반적으로 50만 원·100만 원·150만 원·200만 원 중 하나를 택해 가입할 수 있으며, 자기 부담금은 20%선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보험사별 할인할증에 따른 등급별 적용률 [예시]
* 보험사의 2022.06.01 이후 책임개시 계약의 할인할증 등급별 적용률
01(Z)등급 | 200% | 200% | |
02(Z)등급 | 178% | 178% | |
03(Z)등급 | 162% | 162% | |
04(Z)등급 | 140% | 142% | |
05(Z)등급 | 134% | 134% | |
06(Z)등급 | 120% | 122% | |
07(Z)등급 | 111% | 109% | |
08(Z)등급 | 100% | 95% | |
09(Z)등급 | 90% | 92% | |
10(Z)등급 | 85% | 89% | |
11(Z)등급 | 81% | 82% | 82% |
12(Z)등급 | 71% | 69% | 69% |
13(Z)등급 | 64% | 64% | 64% |
14(Z)등급 | 58% | 61% | 61% |
15(Z)등급 | 57% | 57% | 57% |
16(Z)등급 | 54% | 54% | 54% |
17(Z)등급 | 47% | 49% | 49% |
18(Z)등급 | 46% | 45% | 45% |
19(Z)등급 | 46% | 44% | 44% |
20(Z)등급 | 43% | 41% | 41% |
21(Z)등급 | 41% | 40% | 40% |
22(Z)등급 | 41% | 40% | 40% |
23(Z)등급 | 40% | 38% | 38% |
24(Z)등급 | 34% | 36% | 36% |
25(Z)등급 | 34% | 34% | 34% |
26(Z)등급 | 34% | 33% | |
27(Z)등급 | 34% | 32% | |
28(Z)등급 | 30% | 31% | |
29(Z,P)등급 | 30% | 30% |
결론 I 자동차보험료는 보험사 시뮬레이션 계산기 이용하기
👦 대략 자동차보험료가 어떤 요인들로 구성되어 산출되는지 알았습니다만, 보험사별로 또한 요율이 달라서 아주 정확한 금액을 산출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보다는 각 보험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동차보험료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서 몇 군데 직접 비교해보거나 영업대리점을 통해 제안받아보는 것을 권합니다.
결론은 개인과실 100%의 대물 300만 원 보험료 처리를 한 저는 꽤 높게 다음 해 보험료가 나올 거라는 것은 확실히! 알았습니다 ㅜㅜ
'기타 > 알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개인사업자 세금 일정 (0) | 2023.01.11 |
---|---|
2023년 생애주기별 예산안 (0) | 2022.12.03 |
2022 국가장학금 신청 시작 (0) | 2021.11.24 |
유류세 인하 ㅣ 내 차 휘발유 가격 얼마나 내리는건가요? (0) | 2021.11.12 |
11월 여행관련 혜택 정리 (0) | 2021.11.09 |